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은 한라산을 중심으로 형성된 지형과 다양한 생태계를 포괄하는 지역으로,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한라산은 해발 1,950m의 휴화산으로, 360개의 기생 화산과 백록담, 주상절리대, 용암 동굴을 포함한 지형적 특징을 갖는다. 특히 용암 동굴 시스템은 과학적 가치가 높아 연구 및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며, 한라산은 다양한 식물과 동물의 서식지로서 생태학적 가치를 지닌다. 이 지역은 세계유산 등재 기준 7항과 8항을 충족하며, 한라산천연보호구역, 거문오름 용암 동굴계, 성산일출봉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주특별자치도의 지리 - 백록담
백록담은 한라산 정상에 있는 남한 최고봉의 산정화구호로, 흰 사슴 전설에서 유래한 이름과 빼어난 경관을 자랑하며 학술적 가치가 높은 화산지형이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지리 - 제주해협
제주해협은 한반도와 제주도 사이의 해협으로, 따뜻한 쿠로시오 해류의 지류가 흐르며 역사적으로 한반도 전쟁사에서 중요한 요충지였다. - 대한민국의 세계유산 - 새마을 운동
새마을 운동은 박정희 정부 주도로 1970년에 시작된 지역사회 개발 운동으로, 근면·자조·협동 정신을 바탕으로 농촌 근대화, 소득 증대, 환경 개선을 목표로 추진되었으나, 권위주의 정권의 통치 수단 활용, 전통문화 탄압 등의 비판도 있으며, 현재는 생명살림운동으로 변화를 모색 중이다. - 대한민국의 세계유산 - 석굴암
석굴암은 경덕왕 때 김대성이 짓기 시작하여 혜공왕 때 완성된 토함산 중턱의 석굴 사찰로, 석가여래좌상을 중심으로 한 아름다운 조각상들과 독창적인 건축미로 한국 불교 미술의 걸작으로 평가받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으나, 보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 | |
---|---|
개요 | |
![]() | |
위치 | 제주도, 대한민국 |
포함 지역 |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거문오름 용암 동굴계 1 2 3 성산일출봉 응회구 |
기준 | (vii) (viii) |
ID | 1264 |
등재 연도 | 2007년 |
면적 | 9,475.2 ha |
완충 구역 | 9,370.8 ha |
한국어 명칭 | 한글: 제주도 자연유산지구 한자: 로마자 표기: Jejudo jayeonyusanjigu 매큔-라이샤워 표기: Chejudo chayŏnyusanjigu |
상세 정보 | |
한국어 명칭 |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 |
유네스코 세계유산 | |
IUCN | IV (종과 서식지 관리 지역) V (경관 보호 지역) |
URL 번호 | 1264 |
문화재청 세계자연유산 페이지 | 문화재청 세계자연유산 페이지 |
2. 지형 및 지질
제주의 중심 특징은 한라산으로, 해발 1,950m로 솟아 있는 휴화산이자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주요 화산에는 360개의 기생 화산이 있다. 제주도의 화산 활동은 대략 백악기에 시작되어 초기 제3기까지 지속되었다. 가장 최근의 분화는 약 5,000년 전으로 추정되며, 이는 화산을 활화산으로 분류하는 기준인 지난 1만 년 이내에 분화가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4][5] 활화산 지정에 대해서는 더 나은 화산 이해를 위한 추가적인 모니터링과 연구가 필요하므로 모든 사람이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5] 이 섬은 한라산(labels=no/한라산한국어)이 생성한 화산암과 화산토로 덮여 있다. 백록담은 한라산 정상에 위치한 화구와 그 안에 있는 호수로, 25,000년 전에 형성되었다.
제주는 광범위한 용암 동굴 시스템(측면 화산 또는 한국어로 ''오름''이라고도 함)으로 과학적 가치가 높다. 한때 마그마가 흘렀던 이 자연 통로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큰 동굴 중 일부가 되었다. 이 동굴들은 과학 연구의 기회를 제공하며 인기 있는 관광지이기도 하다.
서귀포시 해안에는 제주의 자연미를 보여주는 주상절리대 바위들이 넓게 펼쳐져 있다. 이 지역에서 발견된 조개류와 동물 화석 또한 과학적 자원으로서 매우 가치가 높다. 서귀포시 해안에 위치한 범섬과 문섬 역시 잘 보존된 경관 지역이다.
제주의 다양한 동식물 종 또한 자연 보호 구역으로서의 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이유이다. 한국 관속식물의 절반이 이 섬에서 자연적으로 자라며, 한국 고유 식물 200종이 이곳으로 옮겨졌다. 그러나 이 종들의 절반은 멸종 위기에 직면해 있다. 빙하기 동안 남쪽에서 와서 제주도 정상에 서식하는 한대 식물이 그 예시이다. 아열대 숲과 섬의 저지대에 있는 다른 식물들도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2. 1. 한라산
제주도의 중심에는 해발 1,950m의 휴화산이자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산인 한라산이 있다.[4][5] 한라산은 순상 화산으로, 360개의 기생 화산이 주 화산에 딸려 있다.[9] 백악기에 시작된 제주의 화산 활동은 제3기 초기까지 이어졌으며, 가장 최근의 분화는 약 5,000년 전으로 추정된다.[4][5] 섬은 한라산에서 생성된 화산암과 화산토로 덮여 있다. 한라산 정상에는 25,000년 전에 형성된 화구호인 백록담이 있다.[4]1966년, 해발 800m 이상이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한라산의 식물상은 1,565종의 관다발 식물이 관찰될 정도로 독특하며, 그 중 33종은 고유종이다. 아열대, 온대, 한대 식물이 수직으로 분포하며, 빙하기에 남쪽에서 와서 한라산 정상 부근에 서식하는 한대 식물과 같이 멸종 위기에 처한 종도 있다.[9]
자연 보호 구역 내에는 17종 이상의 포유류, 198종의 조류, 8종의 양서류, 8종의 파충류, 947종의 곤충 등 다양한 동물이 서식하며, 노루나 삵과 같은 멸종 위기종도 포함된다.[9] 남방큰돌고래가 연안에 정착해 있으며, 과거에는 귀신고래, 북극고래 등 대형 고래류와 강치를 비롯한 기각류도 서식했었다. 한라산에는 구석기 시대의 생활 흔적이 남아 있는 동굴도 있어 고고학적 가치도 높다.[9]
2. 2. 용암 동굴
한라산의 화산 활동으로 생성된 제주는 광범위한 용암 동굴 시스템으로 과학적 가치가 높다.[4][5] 한때 마그마가 흘렀던 이 자연 통로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큰 동굴 중 일부가 되었으며, 과학 연구 및 관광지로 활용된다.제주도 북동부에는 대규모의 용암동굴이 펼쳐져 있는데, 이는 섬의 중동부에 위치한 거문오름의 수십만 년 전 분화로 인한 용암이 흐른 흔적이다. 제주 선흘리 벵뒤굴, 만장굴, 김녕굴, 용천동굴, 제주 당처물동굴 등이 대표적이다.
2. 3. 주상절리대
서귀포시 해안에는 제주의 자연미를 보여주는 주상절리대 바위들이 넓게 펼쳐져 있다.[4] 이 지역에서 발견된 조개류와 동물 화석 또한 과학적 자원으로서 매우 가치가 높다.[4]2. 4. 성산일출봉
성산일출봉/城山日出峰한국어(성산일출봉)은 섬의 동쪽 끝에 있는 분화구 흔적 (타프콘)이다. 지름 600m의 분화구가 100m 정도 높이의 단애로 둘러싸여 있으며, 성채와 같은 양상을 띠고 있다. 설트세이식 분화의 좋은 예로 여겨진다.[9]
3. 생태
3. 1. 한라산 국립공원
한라산은 제주도 섬 중앙부에 위치한 순상 화산이며, 해발 1950m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9] 360개의 소화산이 한라산에 부속되어 있다. 1966년부터 해발 800m 이상의 모든 지역은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등산로와 공원 관리 시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훼손되지 않은 자연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한라산 국립공원의 식물상은 독특하다. 1,565종의 관속식물이 기록되었으며, 이는 한국의 산 중에서 가장 많은 수이다. 이 중 33종은 제주도 고유종이다. 한라산은 아열대, 온대, 한대 등 세 가지 다른 식물 분포 구역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식물상을 보인다. 빙하기에 한국 본토에서 전해져 한라산 산정 부근에 자라는 한대 식물과 같이, 멸종 위기에 처한 식물들도 있다.
한라산 자연 보호 구역에는 17종 이상의 포유류, 198종의 조류, 8종의 양서류, 8종의 파충류, 947종의 곤충이 서식하고 있다.[6] 노루(Capreolus capreolus pygargus)와 삵(Felis bengalensis manchuria)과 같은 멸종 위기종도 포함된다.[6] 인도태평양참돌고래와 상괭이가 서식하고 있다.[6] 역사적으로 이 섬과 인접한 해역은 서부 회색고래, 북극고래[7], 혹등고래, 흰긴수염고래, 대왕고래와 같은 대형 고래들의 이동 경로이자 휴식 장소였다.[8] 현재는 멸종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일본강치도 이 섬에 서식했을 수 있다. 일부 기각류는 여전히 가끔 발견된다.
한라산에는 구석기 시대의 유적인 빌레못 동굴이 있다. 이 동굴에서 발견된 고고학적 유물은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들이 이 섬에 거주했음을 보여준다.
3. 2. 해양 생태
4. 역사 및 문화
4. 1. 빌레못 동굴
5. 세계자연유산 등재
5. 1. 등재 기준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기준 제7항 및 제8항을 충족하여 등재되었다.5. 2. 등재 범위
한라산천연보호구역(Hallasan Natural Reserve, ID: 1264-001)은 9093.1 ha이며, 완충 지역은 7347.4 ha이다. 거문오름 용암 동굴계(Geomunoreum Lava Tube System)는 3개의 지역으로 나뉘어 등록되어 있다. Geomunoreum Lava Tube System - 1 (ID: 1264-002)은 64.6 ha, Geomunoreum Lava Tube System - 2 (ID: 1264-003)은 23.8 ha, Geomunoreum Lava Tube System - 3 (ID: 1264-004)은 241.9 ha이다. 성산일출봉의 응회구(Seongsan Ilchulbong Tuff Cone, ID 1264-005)는 51.8 ha, 완충 지역은 117 ha이다.참조
[1]
웹사이트
Natural sites in Madagascar, China and Korea inscribed on UNESCO World Heritage List
https://whc.unesco.o[...]
2007-12-26
[2]
웹사이트
Jeju Volcanic Island and Lava Tubes
https://whc.unesco.o[...]
2021-04-22
[3]
웹사이트
Geography
http://web.syr.edu/~[...]
2006-07-29
[4]
웹사이트
About Global Volcanism Program
http://volcano.si.ed[...]
Smithsonian Institution
2013-09-01
[5]
뉴스
'There could be volcanic activity, but we don't know': Jeju younger than previously thought, highlights dearth of knowledge about Mt. Hallasan
http://www.jejuweekl[...]
2014-09-25
[6]
웹사이트
낚시꾼들에겐 찬밥이지만 '귀하신' 몸입니다
http://blog.ohmynews[...]
2015-01-11
[7]
웹사이트
Recovery Strategy for the North Pacific Right Whale in Pacific Canadian Waters
http://www.registrel[...]
2011-04-27
[8]
간행물
Spatial and Seasonal Distribution of American Whaling and Whales in the Age of Sail
[9]
웹사이트
Jeju Volcanic Island and Lava Tubes
https://whc.unesco.o[...]
2023-0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